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5 옥외소화전 개념 및 설치기준, 사용법, 종류, 제수변 역할 건축물 내부에 화재 진압을 위한 옥내소화전이 있다면 건축물 외부에는 옥외소화전이 있습니다. 옥외소화전은 화재가 인접 건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화재가 실제로 발생하면 건물 관계인이나 자위소방대원이 초기 소화에 이용하기 위해 설치하죠. 그럼 옥외소화전의 개념, 설치기준 및 사용법, 종류 등에 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옥외소화전설비 구성요소 동영상 보기 ✅ 옥외소화전 개념옥외소화전은 건축물 외부에 설치하는 수계소화설비로서 화재 시 소방대상물의 외부에서 소화 및 인접 건축물의 연소 확대 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소방설비입니다. 저수조 수원이 있다는 점과 가압송수장치, 제어반이 있는 것은 옥내소화전과 동일합니다. ✅ 옥외소화전 설치기준✔️ 옥외소화전의은 방수량 350L/m.. 2024. 4. 19. 가스계 소화설비 종류 알아보기_패키지 방식, 모듈러 방식, 전역 방출 방식 안녕하세요. 오늘은 가스계 소화설비에 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가스계 소화설비는 물로 소화하기 곤란한 장소에 주로 설치됩니다. 물이 닿으면 고장나는 비싼 전자식 장비가 있거나 큰 사고가 날 수 있는 전기실 등에 스프링클러헤드 대신 설치되는 것이죠. 이 가스소화설비도 가스 경로 및 분출 방식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분류됩니다. 패키지 방식, 모듈러 방식, 전역 방출 방식이 그것입니다. 조금 생소하실 수 있는데, 쉽게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스계 소화설비 구성요소 바로가기 ✅ 패키지 가스계 소화설비패키지 가스계 소화설비의 경우 실무에서는 자동소화장치로 분류됩니다. 패키지함 자체로 소화설비로서 역할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소공간소화장치라는 소화장치가 있는데, 분출 방식이 굉장히 흡사합니다. 보통 패키지 .. 2024. 4. 10. 소방시설 사이렌 작동하는 경우 및 설치기준 알아보기 소방 경보음이 발생하는 경우는 크게 1) 사이렌에 의한 경보, 2) 경종(주경종 및 지구경종)에 의한 경보, 3) 감지기 작동 시 비상방송 스피커에 의한 경보 등이 있습니다. 이 중 오늘은 1) 사이렌에 의한 경보에 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사이렌은 어떤 경우에 작동할까요? 사이렌이 작동하는 경우(작동원리)와 사이렌 설치기준(설치장소 및 위치 등)에 관해 알아보도록 겠습니다. 사이렌 증설 방법 동영상 ✅ 사이렌 작동하는 경우사이렌이 작동하는 경우는 아래 두 가지 경우입니다. ✔ 알람밸브 및 프리액션밸브 압력스위치 작동 시화재에 의해 스프링클러헤드의 소화수가 방출되면 배관 내 압력이 낮아져 알람밸브가 작동하게 됩니다. 이때, 함께 작동하는 압력스위치에 의해 사이렌이 동작하게 되는 것입니다. 프리액션밸브 .. 2024. 4. 9. 방화댐퍼 알아보기_설치목적, 종류, 설치 및 성능기준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덕트에 설치하는 것을 방화댐퍼라고 합니다. 화재 발생 시 연기, 불꽃 등이 덕트를 타고 넘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장치이죠. 보통은 FD라고도 많이 불립니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의 덕트는 냉방, 난방, 환기(집진용)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방화구획은 화재가 덕트를 통해 다른 구역으로 확대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럼 방화댐퍼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방화댐퍼 작동 영상 ✅ 방화댐퍼 설치목적방화구획의 벽 및 바닥에 설치하여 불꽃, 연기 등을 차단하여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 방화댐퍼 종류1. 모터 구동형 댐퍼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해 닫히는 모터를 이용해 자동으로 닫히는 방식입니다. 저온의 연기에도 동작이 가능합니다. 2. 퓨즈 블링크.. 2024. 4. 6. 스프링클러헤드 폐쇄형, 개방형 차이 알아보기 스프링클러헤드는 화재가 났을 때 초기에 진화하는 아주 중요한 소방시설입니다. 신고하여 소방관이 출동하기 전에 최초로 물로써 화재를 진압하는 역할을 하죠. 이 스프링클러헤드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폐쇄형 헤드와 개방형 헤드가 그것입니다. 어렴풋이는 들어보셨겠지만 확실한 차이는 잘 모르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스프링클러 폐쇄형 및 개방형 헤드 차이에 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방형,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 동영상 ✅ 스프링클러헤드 폐쇄형 및 개방형을 구분짓는 기준폐쇄형과 개방형을 구분짓는 가장 큰 기준은 감열체의 유무입니다. 감열체가 있는 것은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 감열체가 없는 것이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입니다. 여기서 감열체란 열을 감지하는 것으로 일정 온도 이상에 도달하면 .. 2024. 4. 3. 프리액션밸브 오동작 시 긴급조치 방법 프리액션밸브는 주로 외기와 동파에 약한 지하주차장이나 외곽쪽에 많이 설치합니다. 이런 프리액션밸브가 드물게 오작동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오동작 원인과 긴급조치 방법에 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프리액션밸브는 1차측 밸브와 2차측 밸브측으로 나뉘어져있습니다. 2차측 밸브는 동파등의 방지를 위해 물이 빠져있습니다. 화재가 감지기로부터 감지되면 2차측으로 물이 넘어가 스프링클러헤드에서 분사되어 불을 끄는 구조입니다. 화재가 나지 않았는데 1차측에서 2차측으로 물이 넘어가는 경우 터져서 물이 나오는 헤드가 있습니다. 이런 긴박한 상황의 조치 방법에 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프리액션밸브 구조 알아보기 ✅ 프리액션밸브 오동작 원인화재가 아닌 경우 프리액션밸브 오동작 주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1... 2024. 3. 29. 이전 1 ··· 11 12 13 14 15 다음 반응형